| 명칭 | 이타바시 구립 교육과학관 (이타바시쿠리쓰쿄이쿠카가쿠칸) Itabashi Science & Education Hall 板橋区立教育科学館 |
|---|---|
| 🗺️ 소재지 | |
개요
주로 아이들과 함께 과학 원리를 체험하거나 천체 관측에 관심 있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다.
다양한 체험형 과학 전시물을 직접 만져보고 조작해볼 수 있으며, 플라네타리움에서 별자리와 우주 관련 영상을 관람하거나 실제 공룡 화석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도 있다.
일부 전시물은 다소 낡았거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평일 지하 전시실은 오후 1시부터 운영되어 오전 방문 시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feature_0_1747755015692.jpg)
플라네타리움
성인 350엔, 어린이 120엔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연령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활용한 특별 상영도 진행된다. 계절별 별자리 해설과 함께 우주에 대한 흥미를 돋운다.
/feature_1_1747755068133.jpg)
지하 과학 전시실
무료아이들이 직접 만지고 조작하며 과학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착시 현상을 이용한 '이상한 방(ふしぎの部屋)'은 인기 있는 체험 공간이다.
/feature_2_1747755116318.jpg)
공룡 화석 전시
무료실제 트리케라톱스 머리뼈와 에드몬토사우루스 대퇴골 화석이 전시되어 있어, 고대 생물의 거대한 크기를 직접 느껴볼 수 있다. 아이들의 교육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추천 포토 스팟
/photospot_0_1747755180219.jpg)
트리케라톱스 머리뼈 화석 앞
거대한 실제 공룡 화석과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photospot_1_1747755225324.jpg)
지하 과학 전시실 '이상한 방'
착시 현상을 이용한 재미있는 사진을 연출할 수 있다.
/photospot_2_1747755246051.jpg)
엘리베이터 내부
천장에 설치된 미니 플라네타리움을 배경으로 독특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방문 팁
평일 지하 1층 과학 전시실은 오후 1시부터 운영되므로, 오전 방문 시에는 1층과 2층 전시물 또는 플라네타리움을 먼저 이용하는 것이 좋다.
플라네타리움은 유료이며, 티켓은 관내 자동 발매기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인기 프로그램은 매진될 수 있으니 상영 시간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어린이 대상 플라네타리움 프로그램 중 일부는 무료로 제공되기도 한다.
관내에 간단한 음료 자판기와 음식물 섭취가 가능한 휴게 공간이 있지만, 전자레인지 등은 제공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천장에 작은 플라네타리움이 설치되어 있어 이동 중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자체 주차 시설이 없으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인근 이토요카도 유료 주차장을 이용 후 쇼핑으로 주차 할인을 받는 방법이 있다.
여자 화장실의 경우 일본식(화식) 변기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 양변기를 선호한다면 미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접근 방법
🚇 전철 이용 시
- 도부 도조선(東武東上線) '가미이타바시역(上板橋駅)' 북쪽 출구에서 하차 후 도보 약 5분 소요.
🚌 버스 이용 시
- 국제흥업버스(国際興業バス) 이용, '도키와다이산초메(常盤台三丁目)'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약 7~8분 소요. (예: 아카바네역 또는 오지역 출발 노선)
축제 및 이벤트
별을 보는 모임 (星を見る会)
어린이 과학 워크숍 (예: 슬라임 만들기)
플라네타리움 특별 상영 (애니메이션 등)
역사적 배경
1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엘리베이터 천장에는 작은 플라네타리움이 설치되어 있어 탑승객에게 소소한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얘기가 있다.
이곳의 운영은 학습 교재 및 교육 서비스로 유명한 '갓켄(学研)'에 위탁되어 있다는 언급이 있다.
가끔 '별을 보는 모임(星を見る会)'과 같은 특별 천체 관측 행사가 열리며, 이때는 직원들뿐만 아니라 고등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여 열정적으로 안내하기도 한다고 전해진다.
이타바시구라는 지명은 헤이안 시대 샤쿠지이 강을 가로지르던 널빤지 다리(板橋)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