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원산 최승사 교학원(치쿠온잔 사이쇼지 쿄가쿠인)
명칭죽원산 최승사 교학원(치쿠온잔 사이쇼지 쿄가쿠인)
Saichō-ji Temple (Chikuon-zan Saishō-ji Kyōgaku-in)
竹園山 最勝寺 教学院
🗺️ 소재지

개요

에도 5색 부동 중 하나인 '메아오후도손(目青不動尊)'을 참배하거나, 도심 속 고즈넉한 사찰에서 잠시 평온을 찾고 싶은 역사/종교 문화 탐방객 및 조용한 휴식을 원하는 개인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경내에서는 아미타여래를 모신 본당과 '메아오후도손'이 있는 부동당을 참배할 수 있으며, 잘 가꿔진 나무들 사이를 거닐며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고슈인(御朱印, 참배 기념 도장)을 받아 기념으로 간직할 수도 있다.

일부 방문객들은 경내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본당 내부 참배가 어려워 아쉬움을 느끼기도 하며, 사찰로 들어서는 입구가 다소 찾기 어렵다는 언급이 있다.

핵심 평가

2.8
종합 가치
🏛️
3.5
역사 문화적 가치
👁️
3
시각적 매력
🔍
3.3
독특성
📸
2.5
포토 스팟
🌍
2.5
인지도

🏷️여행지 특성

🏰역사 유적지
🏞️지역 명소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메아오후도손(目青不動尊) 참배

참배 무료

에도 5색 부동 중 하나인 '메아오후도손'을 모시고 있으며, 특히 인연을 맺어주는 부동으로 알려져 있다. 방문객들은 부동당에서 청동으로 만들어진 전립 부동명왕상을 직접 참배할 수 있다.

경내 부동당(不動堂)

이미지가 없습니다

고슈인(御朱印) 수집

통상 300엔 ~ 500엔

참배의 증표로 이곳의 고슈인을 받을 수 있다. 독특한 디자인의 고슈인은 방문 기념품으로도 인기가 있으며, 본당 옆 건물에서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 팁: 고슈인은 때에 따라 서면(카키오키)으로만 제공될 수 있다.
본당 옆 사무소(寺務所)

이미지가 없습니다

계절 경관 감상

경내에는 세타가야 구의 명목 백선에도 선정된 큰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다양한 나무들이 잘 가꾸어져 있다. 특히 늦가을에는 노랗게 물든 은행잎과 붉은 단풍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경내 전역 (특히 본당 앞 은행나무, 부동당 주변)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본당 앞 은행나무

가을철, 황금빛으로 물든 거대한 은행나무를 배경으로 인상적인 사진을 남길 수 있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부동당과 단풍

늦가을, 붉게 물든 단풍과 고즈넉한 부동당 건물이 어우러진 풍경을 촬영할 수 있다.

방문 팁

고슈인(참배 기념 도장)은 본당 옆 건물(사무소)의 벨을 눌러 요청하면 받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서면으로 된 고슈인(카키오키)으로 제공된다.

경내에는 일반 방문객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없으므로, 방문 전 미리 해결하는 것이 좋다.

사찰 내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자가용을 이용한 방문이 가능하다.

간토 36 부동 영지 순례 중 하나(제16번)이므로, 순례객이라면 관련 준비를 해 가는 것이 좋다.

접근 방법

🚇 전철 이용

  • 도큐 세타가야선(東急世田谷線) 산겐자야역(三軒茶屋駅)에서 하차 후 도보 약 1~5분 소요된다.
  • 도큐 덴엔토시선(東急田園都市線) 산겐자야역(三軒茶屋駅)에서 하차 후 도보 약 5분 소요된다.

세타가야선 산겐자야역에서는 선로를 따라 조금만 걸으면 쉽게 찾을 수 있다.

🚌 버스 이용

  • 도큐 버스(東急バス) 또는 오다큐 버스(小田急バス)를 이용하여 산겐자야역(三軒茶屋駅)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약 5분 소요된다.

역사적 배경

5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1311년 (응장 원년)...1908년 ~ 1911년 (메이지 41년 ~ 44년)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죽원산 최승사 교학원은 원래 산노 조린지(山王城琳寺)의 말사였으나, 오다와라 성주 오쿠보 가문(大久保家)의 보리사가 되면서 토에이잔 칸에이지(東叡山寛永寺)의 말사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이곳에 모셔진 '메아오후도손(目青不動尊)'은 원래 아자부다니쵸(麻布谷町)에 있던 칸교지(観行寺)의 본존이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칸교지가 폐사되면서 이곳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메아오후도손이 있는 부동당(不動堂)은 과거 '엔마도(閻魔堂, 염마당)'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부동명왕상과 함께 염마대왕(閻魔大王)상과 탈의파(奪衣婆)상이 함께 모셔져 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산겐자야역 바로 옆, 세타가야선 전철이 지나가는 소리가 들리는 주택가에 위치하면서도 경내는 비교적 조용하여, 마치 도심 속 다른 세상에 온 듯한 느낌을 준다는 방문객들의 언급이 종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