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겐카쿠지(곤약 엔마)
명칭겐카쿠지(곤약 엔마)
Genkaku-ji Temple
源覚寺(こんにゃく閻魔)
🗺️ 소재지

개요

눈병 치유의 효험이 있다고 알려진 '곤약 엔마'에게 기도를 올리거나, 독특한 민간 신앙과 관련된 유래를 탐구하고자 하는 개인 여행객 및 역사/문화 탐방객들이 주로 방문한다. 특히 눈 건강에 대한 염원이 있는 이들이나 그 가족들이 많이 찾는 경향이 있다.

방문객들은 경내의 염라당에서 오른쪽 눈이 먼 곤약 엔마상에 곤약을 공양하며 소원을 빌 수 있고, 자신의 아픈 부위에 소금을 문지르며 치유를 기원하는 '소금 지장보살'을 참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고슈인을 받거나, 사이판에서 돌아온 역사적인 '범태평양의 종' 등을 둘러볼 수 있다.

핵심 평가

3.3
종합 가치
🏛️
3.5
역사 문화적 가치
👁️
3
시각적 매력
🔍
4
독특성
📸
3.3
포토 스팟
🌍
3
인지도

🏷️여행지 특성

🎭축제
🏰역사 유적지
💰저예산 여행지
🏞️지역 명소
🧭초보 여행자
🧓노년층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곤약 엔마 참배 및 곤약 공양

곤약 엔마 참배 및 곤약 공양

참배 무료, 곤약은 개별 준비

눈병 치유의 효험이 있다고 알려진 오른쪽 눈이 흐릿한 염라대왕상에 직접 곤약을 공양하며 소원을 빌 수 있다. 많은 참배객들이 가져온 곤약이 쌓여있는 독특한 광경을 볼 수 있다.

💡 팁: 곤약은 사찰 근처 편의점이나 '마이바스켓'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염라당
사찰 개방 시간 내
소금 지장보살 참배

소금 지장보살 참배

참배 무료, 소금은 개별 준비 또는 사찰에서 구매 가능성 있음 (100엔 언급)

자신의 아픈 부위에 해당하는 지장보살 부분에 소금을 직접 문지르거나 쌓아 치유를 기원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참배한다. 소금으로 하얗게 덮인 지장보살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염라당 옆 지장당
사찰 개방 시간 내
고슈인(御朱印) 수집

고슈인(御朱印) 수집

종류에 따라 300엔 또는 500엔

독특한 서체의 '곤약 엔마' 고슈인을 비롯해 비사문천, 아미타여래 등 여러 종류의 고슈인을 받을 수 있다. 일부는 잘라낸 그림(키리에) 형태나 그림이 포함된 특별한 디자인으로 제공된다.

💡 팁: 직접 써주는 고슈인과 인쇄된 형태의 고슈인이 있으니 원하는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사무소(社務所)
사무소 운영 시간 내

추천 포토 스팟

염라당 앞 곤약 공양대

염라당 앞 곤약 공양대

참배객들이 공양한 수많은 곤약이 쌓여있는 이색적인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소금 지장보살

소금 지장보살

마치 눈처럼 소금으로 완전히 뒤덮인 지장보살의 독특하고 인상적인 모습을 담을 수 있다.

범태평양의 종과 종루

범태평양의 종과 종루

역사적 사연을 간직한 종과 고풍스러운 종루를 배경으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방문 팁

눈병 치유를 기원한다면 곤약을 준비해 공양할 수 있다. 사찰 근처 편의점이나 '마이바스켓' 등에서 쉽게 구매 가능하다.

다양한 종류의 고슈인(御朱印)이 있으며, 특히 '곤약 엔마' 글씨체의 직접 써주는 고슈인(초수료 500엔)과 잘라낸 그림(키리에) 형태의 특별 고슈인이 인기다.

경내가 아담하여 도쿄돔 방문 전후로 짧게 둘러보기 좋으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소금 지장보살에게 공양할 소금은 사찰 사무소에서 100엔에 판매한다는 언급이 있다.

접근 방법

🚇 지하철 이용

  • 도에이 미타선(都営三田線)・오에도선(大江戸線) 가스가역(春日駅) A5 출구에서 도보 약 2분
  •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丸ノ内線)・난보쿠선(南北線) 고라쿠엔역(後楽園駅) 8번 출구에서 도보 약 3분

🚌 버스 이용

  • 분쿄구(文京区) 커뮤니티 버스 B-구루(Bーぐる) 메지로다이・고히나타 루트(目白台・小日向ルート) '곤약 엔마(こんにゃくえんま)' 정류장 하차

축제 및 이벤트

매년 1월 16일 및 7월 16일 전후

엔마 예대제 (閻魔例大祭)

매년 7월 (주로 중하순)

꽈리 시장 (ほおずき市)

역사적 배경

8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1624...2003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곤약 엔마’라는 별칭은 과거 눈병을 앓던 노파가 이 절의 염라대왕에게 기도를 올린 후 병이 낫자, 감사의 표시로 자신이 가장 좋아하던 곤약을 계속 바쳤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전설에 따라 염라대왕상의 오른쪽 눈은 노파에게 주기 위해 멀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경내의 ‘소금 지장보살’은 아픈 곳에 소금을 바르면 낫는다는 믿음 때문에 참배객들이 가져온 소금으로 하얗게 덮여 있는 모습이 이채롭다는 얘기가 있다.

‘범태평양의 종’은 원래 이 절의 종이었으나, 1937년 당시 일본령이던 사이판으로 보내졌다가 2차 세계대전 중 행방불명되었다. 전후 1965년 미국 텍사스에서 발견되어 1974년에 다시 절로 돌아온 파란만장한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는 언급이 있다.

메이지 시대의 교육자이자 리츠메이칸 대학 설립에 기여한 나카가와 고주로(中川小十郎)가 학생 시절 이곳에 하숙했던 적이 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대중매체에서

만화

호오즈키의 냉철 (鬼灯の冷徹)

만화 '호오즈키의 냉철' 12권 제100화에서 겐카쿠지의 곤약 엔마와 관련된 이야기가 다루어졌다는 언급이 있다.

TV 프로그램

다수의 일본 TV 프로그램

정확한 프로그램명은 명시되지 않았으나, 여러 방문객들의 후기에서 TV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된 것을 보고 방문했다는 내용이 종종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