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하드리아누스 방벽 Hadrian's Wall Vallum Hadriani |
---|---|
🗺️ 소재지 | |
개요
거의 2000년 전 로마 제국의 공학 기술과 역사를 직접 체험하고, 영국 북부의 광활하고 아름다운 자연 풍경 속에서 하이킹을 즐기려는 역사 애호가 및 자연 탐방객들이 주로 방문한다. 특히 장거리 도보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방벽을 따라 잘 조성된 하드리아누스 방벽 길(Hadrian's Wall Path)을 걸으며 로마 시대의 요새, 마일캐슬(작은 성), 망루 등 다양한 유적을 탐험할 수 있다. 주요 지점에 위치한 박물관에서는 발굴된 유물과 당시 로마 군인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일부 유적지 및 박물관은 유료로 운영되며, 주차 요금이 별도로 부과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부 구간은 경사가 가파르고 지면이 고르지 않아 거동이 불편한 방문객에게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시설의 장애인 접근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 길(Hadrian's Wall Path) 트레킹
무료 (일부 구간 주차료 별도)영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내셔널 트레일 중 하나로, 방벽을 따라 동쪽 해안의 월센드에서 서쪽 해안의 보우니스-온-솔웨이까지 약 135km(84마일) 이어진다. 잘 관리된 길을 따라 다양한 난이도의 구간을 선택하여 걸으며 로마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주요 로마 요새 및 박물관 탐방
각 요새별 입장료 상이 (성인 약 £9.90 ~ £12.50)하우스테드(Housesteads), 빈돌란다(Vindolanda), 체스터스(Chesters), 버드오스왈드(Birdoswald) 등 잘 보존된 로마 요새 유적지를 방문하여 당시 군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각 요새에는 박물관이 함께 운영되어 발굴된 유물, 복원된 로마 시대 물품, 상세한 역사 정보를 제공한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웅장한 자연 경관 감상 및 사진 촬영
무료방벽은 구릉, 극적인 절벽, 계곡 등 다양한 지형을 가로지르며, 특히 중앙부의 스틸 리드(Steel Rigg)나 크랙 호수(Crag Lough) 주변에서는 숨 막힐 듯 아름다운 파노라마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영화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에 등장했던 시카모어 갭(Sycamore Gap)은 나무가 훼손되었음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이 찾는 사진 명소이다.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하우스테드 로마 요새 (Housesteads Roman Fort)
가장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요새 중 하나로, 방벽과 함께 북부 영국의 광활한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스틸 리드 (Steel Rigg) 및 크랙 호수 (Crag Lough)
가파른 절벽과 어우러진 방벽의 드라마틱한 모습을 촬영할 수 있으며, 특히 크랙 호수를 배경으로 한 풍경이 아름답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시카모어 갭 (Sycamore Gap) 주변 (과거 로빈 후드 나무 위치)
상징적인 시카모어 나무는 2023년 고의적인 훼손으로 사라졌으나, 여전히 두 언덕 사이로 이어지는 방벽의 독특한 구도와 주변 경관은 사진 촬영 명소로 남아있다.
방문 팁
험준한 구간이 많으므로 튼튼하고 편안한 워킹화 착용은 필수이다. 특히 장거리 트레킹 시에는 방수 기능이 있는 신발과 여벌 양말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영국 북부의 날씨는 변덕스러우므로, 맑은 날이라도 방수 및 방풍 기능이 있는 겉옷과 여러 겹으로 된 옷을 준비하여 체온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방벽의 모든 구간에서 유적의 상태가 좋은 것은 아니므로, 잘 보존된 방벽과 요새를 집중적으로 보고 싶다면 하우스테드, 스틸 리드, 버드오스왈드 등 중앙부 핵심 구간을 방문 계획에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일부 인기 있는 주차장은 공간이 협소하거나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방문객이 많은 시기에는 오전 일찍 도착하거나, AD122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방벽 자체는 대부분 무료로 걸을 수 있지만, 주요 로마 요새 및 박물관(하우스테드, 빈돌란다 등)은 별도의 입장료가 있으므로 방문 계획 시 예산을 고려해야 한다.
빈돌란다(Vindolanda)에서는 로마 시대 목판 편지가 다량 발굴되어 당시 생활상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진행 중인 고고학 발굴 현장을 직접 볼 기회도 있다.
방벽을 따라 걷다 보면 양떼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애완견 동반 시에는 목줄을 반드시 착용하고 가축에게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A69 도로가 방벽과 대체로 평행하게 이어져 주요 유적지 접근이 용이하다.
- B6318 도로는 '밀리터리 로드(Military Road)'로 불리며 방벽의 가장 잘 보존된 중앙부를 따라 이어진다.
주요 유적지마다 주차장이 있으나, 일부는 유료이며 공간이 제한적일 수 있다.
🚆 기차 이용
- 뉴캐슬(Newcastle)과 칼라일(Carlisle) 사이를 운행하는 기차를 이용하여 헥삼(Hexham), 홀트휘슬(Haltwhistle), 브램튼(Brampton) 등 방벽 인근 주요 역에서 하차할 수 있다.
기차역에서 방벽까지는 버스나 택시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 버스 이용
- AD122번 버스 (Hadrian's Wall Country Bus)는 헥삼과 홀트휘슬 사이의 주요 유적지(체스터스, 하우스테드, 빈돌란다, 로만 아미 뮤지엄, 버드오스왈드 등)를 연결한다.
이 버스는 주로 관광 시즌(봄~가을)에 운행하며, 겨울철에는 운행하지 않거나 축소 운행될 수 있다. 시간표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역사적 배경
7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라틴어로 '발룸 하드리아니(Vallum Hadriani)' 또는 황제의 가문 이름을 따 '발룸 아일리움(Vallum Aelium)'으로도 불렸다고 전해진다.
방벽 건설에는 약 15,000명의 로마 군인이 동원되었으며, 이들은 단순 노동뿐 아니라 측량, 공학, 석공, 목공 기술까지 갖춘 전문 인력이었다는 얘기가 있다.
초기 계획 당시 방벽의 너비는 약 3m(10 로마 피트)였으나, 건설 도중 자원 부족 등의 이유로 일부 구간은 약 2.4m(8 로마 피트)로 좁게 건설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를 각각 '넓은 벽(Broad Wall)'과 '좁은 벽(Narrow Wall)'이라고 부른다.
방벽의 돌 중 일부는 후대에 지역 농가나 도로 건설에 재사용되었는데, 심지어 7세기에는 자로우(Jarrow) 지역 성 바오로 교회의 건축에도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역사학자 베다(Bede)가 이 교회에서 활동했다.
과거에는 방벽이 석고로 덮여 있고 하얗게 칠해져 있어 햇빛을 반사하며 수 마일 밖에서도 보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는 로마의 위용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따른다.
방벽은 단순히 방어 목적 외에도, 통제된 출입구를 통해 물품 이동을 감시하고 관세를 징수하는 통관 시설로도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방벽 남쪽에는 '발룸(Vallum)'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토목 구조물이 거의 평행하게 이어지는데, 이는 방벽 본체와는 별개의 군사 통제 구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중매체에서
독수리 (The Eagle of the Ninth)
로즈마리 서트클리프(Rosemary Sutcliff)의 유명한 아동 역사 소설로, 젊은 로마 장교 마커스가 하드리아누스 방벽 너머 미지의 땅으로 사라진 제9군단의 독수리 군기를 찾아 나서는 모험을 그린다. 이 작품은 2011년 영화 '더 이글(The Eagle)'로 각색되었다.
얼음과 불의 노래 (A Song of Ice and Fire) / 왕좌의 게임 (Game of Thrones)
작가 조지 R. R. 마틴(George R. R. Martin)은 자신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 '얼음과 불의 노래'에 등장하는 거대한 얼음 장벽 '더 월(The Wall)'이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방문했을 때 영감을 받아 구상한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혔다. 이 소설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원작이다.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 (Robin Hood: Prince of Thieves)
영화의 일부 중요한 장면이 하드리아누스 방벽 근처의 시카모어 갭(Sycamore Gap)에 있는 플라타너스 나무 아래에서 촬영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나무는 '로빈 후드 나무'라는 별명을 얻으며 매우 유명해졌으나, 안타깝게도 2023년 9월 고의적인 기물 파손 행위로 쓰러졌다.
킹 아더 (King Arthur)
영화의 주요 배경 중 하나로 하드리아누스 방벽이 등장하며, 아서 왕과 그의 기사들이 북쪽으로의 위험한 임무를 위해 방벽의 문을 통과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인 바돈산 전투(Battle of Badon) 역시 방벽 바로 안쪽에서 벌어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센츄리온 (Centurion)
로마 제9군단의 실종 미스터리를 다룬 액션 영화로, 하드리아누스 방벽 건설 이전 시기를 배경으로 하지만, 방벽이 세워질 북부 국경 지대의 험난한 상황과 로마군과 픽트족 간의 갈등을 묘사한다. '더 이글'과 유사한 소재를 다룬다.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Assassin's Creed Valhalla)
9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하는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주인공 에이보르(Eivor)를 통해 당시 이미 유적으로 남아있던 하드리아누스 방벽 지역을 방문하고 탐험할 수 있다.
로마 방벽 블루스 (Roman Wall Blues)
영국의 시인 W. H. 오든(W. H. Auden)이 BBC 라디오 다큐멘터리를 위해 작성한 대본의 일부로, 후에 시로 발표되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에 주둔한 외로운 로마 병사의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