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무명용사의 묘 The Tomb of the Unknown Soldier The Tomb of the Unknown Soldier |
---|---|
🗺️ 소재지 | |
개요
미국을 위해 희생된 무명용사들을 추모하고, 엄숙하고 정교한 근위병 교대식을 직접 보고자 하는 역사 탐방객 및 일반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방문객들은 24시간 경계 근무가 이루어지는 묘역 앞에서 경건한 마음으로 참배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에 진행되는 근위병 교대식을 통해 절도 있는 군 의식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기념 원형극장과 알링턴 국립묘지 내 다른 주요 안장자들의 묘역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묘지 입구에서 무명용사의 묘까지 도보 이동 거리가 상당하고 일부 구간은 오르막길이어서, 거동이 불편한 방문객에게는 다소 힘들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근위병 교대식 (Changing of the Guard Ceremony)
무료 관람미 육군 제3보병연대 '올드 가드(The Old Guard)' 소속 근위병들이 24시간 365일 묘역을 경비하며, 정해진 시간에 엄숙하고 절도 있는 교대식을 진행한다. 이 의식은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무명용사의 묘의 가장 상징적인 장면이다.

무명용사 석관 및 묘역 (The Sarcophagus and Crypts)
백색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석관은 제1차 세계대전의 무명용사를 기리며, 그 앞에는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의 무명용사 묘가 나란히 있다. 석관에는 "신만이 아시는 미군 용사, 여기 영예로운 영광 속에 잠들다(HERE RESTS IN HONORED GLORY AN AMERICAN SOLDIER KNOWN BUT TO GOD)"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21보 행진 및 경계 근무 (21-Step Walk and Guard Patrol)
근위병은 묘지 앞 63피트(약 19m) 길이의 검은색 매트를 따라 정확히 21걸음을 행진하고, 21초간 동쪽을 향해 멈춰 선 후 다시 북쪽을 향해 21초간 정지, 이후 무기를 반대편 어깨로 옮기고 21초 대기하는 엄격한 절차를 반복한다. 21이라는 숫자는 최고의 군사적 경의를 표하는 21발의 예포를 상징한다.
추천 포토 스팟

근위병 교대식 정면 관람석
교대식의 전체적인 대형과 근위병들의 정교하고 절도 있는 동작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위치이다.

묘역 측면 (기념 원형극장 배경)
무명용사 석관과 함께 뒤편에 위치한 웅장한 기념 원형극장(Memorial Amphitheater)을 한 프레임에 담아낼 수 있다.

행진하는 근위병 근접 촬영 (매트 옆)
안전선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 매트를 따라 행진하는 근위병의 엄숙하고 진중한 모습을 비교적 가까이에서 촬영할 수 있다.
방문 팁
근위병 교대식은 하절기(4월~9월)에는 30분 간격, 동절기(10월~3월)에는 매시간 정각에 진행된다. 최소 15분 전에는 도착하여 좋은 관람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알링턴 국립묘지 내부는 매우 넓고 일부 언덕길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보 이동이 부담스럽다면 유료 트램 투어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트램은 무명용사의 묘를 포함한 주요 지점에 정차한다.
근위병 교대식 중에는 반드시 정숙을 유지해야 한다. 근위병들은 관람객이 소란을 피우거나 지정된 관람선을 넘을 경우 엄격하게 제지할 수 있다.
무명용사의 묘 인근 방문자 센터 또는 전시 공간에서 묘의 역사와 상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교대식 전후로 잠시 들러보는 것도 좋다.
묘지 내에서는 음식물 및 주류 반입이 금지된다. 생수는 알링턴 국립묘지 웰컴 센터에서 구매할 수 있다.
햇볕이 강한 날에는 선글라스 착용이 권장된다. 대리석의 빛 반사가 심할 수 있다.
접근 방법
🚇 지하철 이용
- 워싱턴 메트로 블루 라인 '알링턴 국립묘지(Arlington Cemetery)' 역에서 하차한다.
역에서 묘지 입구까지는 가깝지만, 무명용사의 묘까지는 묘지 내부에서 다소 걸어야 한다. 묘지 내 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 자가용 이용
- 알링턴 국립묘지 방문자 센터에 마련된 유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차 요금은 시간당 부과될 수 있으며,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혼잡할 수 있다.
🚌 트램 투어 (묘지 내부)
- 알링턴 국립묘지 방문자 센터에서 출발하는 유료 트램 투어를 이용하면 무명용사의 묘를 포함한 주요 지점들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다.
트램은 지정된 정류장에서 자유롭게 승하차(Hop-on, Hop-off)가 가능하다.
주요 추모 행사
현충일 기념식 (Memorial Day Ceremony)
재향군인의 날 기념식 (Veterans Day Ceremony)
역사적 배경
6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무명용사의 묘를 지키는 근위병들은 계급장을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안장된 무명용사들의 계급이 무엇이었든 간에, 살아있는 근위병이 그들보다 높은 계급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통이라고 한다.
근위병들은 극심한 악천후 속에서도 자리를 뜨지 않고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허리케인, 폭설, 혹서 등 어떠한 기상 조건에도 24시간 경계 근무는 중단되지 않는다고 전해진다.
근위병이 묘 앞을 따라 걷는 21걸음, 21초간의 정지 등 숫자 '21'이 반복되는 것은 최고의 군사적 경의를 표하는 21발의 예포를 상징한다고 한다.
베트남 전쟁 무명용사가 안장되었던 묘는 현재 비어 있으며, 그 자리에는 '미국의 실종 장병들을 기리며 그 믿음을 지킨다 1958 – 1975 (Honoring and Keeping Faith with America's Missing Servicemen 1958–1975)'라는 문구가 새겨져, 모든 실종 장병을 추모하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남아있다.
과거 무명용사의 묘 대리석 석관에 균열이 발견되어 교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역사적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대대적인 수리 및 복원 작업을 통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기로 결정되었다.
무명용사의 묘 근위병으로 선발되는 것은 미 육군 내에서도 매우 영예로운 일로 여겨지며, 엄격한 신체 조건, 제식 능력, 암기 능력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이들은 알링턴 국립묘지의 역사와 주요 안장자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중매체에서
폴아웃 3 (Fallout 3)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이 게임에서, 워싱턴 D.C. 지역의 일부로 알링턴 국립묘지와 함께 무명용사의 묘가 구현되어 있다.
메탈기어 솔리드 4: 건즈 오브 더 패트리어트 (Metal Gear Solid 4: Guns of the Patriots)
게임의 주요 등장인물인 솔리드 스네이크가 사후 알링턴 국립묘지의 무명용사의 묘 근처에 안장되는 것으로 묘사되며, 게임의 시작과 엔딩 장면에 중요한 배경으로 등장한다.
오버워치 (Overwatch)
게임 내 등장인물인 '솔저: 76'의 배경 이야기와 관련하여, 그의 가상 묘지가 알링턴 국립묘지 내 어딘가에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무명용사의 묘와 같은 국가적 영웅을 기리는 장소의 상징성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