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이코쿠지 절 (다이코쿠지)
명칭다이코쿠지 절 (다이코쿠지)
Daikokuji Temple
大黒寺
🗺️ 소재지

개요

일본 최초의 대흑천이 출현한 영지로 알려져, 재물과 복을 기원하거나 조용하고 독특한 종교적 분위기를 체험하고자 하는 개인 및 소규모 그룹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경내에 봉안된 대흑천과 칠복신상을 참배할 수 있으며, 소원을 빌며 '우치데노코즈치(행운의 망치)' 주변을 돌거나 '마니차'를 돌리는 등의 독특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석상과 중국 청대의 종 등을 감상하며 경내를 둘러볼 수 있다.

주차장의 경우 반대편 차선에서의 진입이 다소 어렵다는 의견이 있으며, 주지 스님 부재 시 고슈인(참배 증명 인장)은 미리 준비된 서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핵심 평가

2.8
종합 가치
🏛️
3.5
역사 문화적 가치
👁️
3.3
시각적 매력
🔍
3.8
독특성
📸
2.8
포토 스팟
🌍
1.5
인지도

🏷️여행지 특성

💎숨겨진 보석
🏰역사 유적지
👨‍👩‍👧‍👦가족 친화적
💰저예산 여행지
🏞️지역 명소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우치데노코즈치(행운의 망치) 돌며 소원 빌기

우치데노코즈치(행운의 망치) 돌며 소원 빌기

경내 중앙에 위치한 커다란 '우치데노코즈치' 주위를 종을 울리며 7번 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독특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많은 방문객이 행운과 소원 성취를 기원하며 참여한다.

💡 팁: 소원을 빌 때는 시계 방향으로 도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가 있다.
경내 중앙
칠복신 석상 참배 및 관람

칠복신 석상 참배 및 관람

본당으로 이어지는 길가와 경내 곳곳에는 개성 넘치는 표정의 거대한 칠복신 석상들이 줄지어 있다. 각 신들의 특징을 살펴보며 참배하고 기념사진을 남기는 방문객이 많다.

본당 앞 참배로 및 경내
일본 최초 대흑천 참배

일본 최초 대흑천 참배

이 사찰은 '일본 최초 대흑천 출현 영장'으로 불리며, 본존으로 대흑천(大黒天)을 모시고 있다. 재물운과 사업 번창, 그리고 다양한 복을 기원하는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본당

추천 포토 스팟

칠복신 석상 앞

칠복신 석상 앞

일곱 개의 거대한 칠복신 석상들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다. 각 신들의 익살스러운 표정과 함께 사진을 찍는 방문객들이 많다.

우치데노코즈치 (행운의 망치) 옆

우치데노코즈치 (행운의 망치) 옆

커다란 행운의 망치 조형물과 함께 소원을 비는 모습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

중국 청대 종루 앞

중국 청대 종루 앞

경내에 있는 희귀한 중국 청나라 시대의 종이 있는 종루 앞에서 독특한 건축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방문 팁

긴테쓰 미나미오사카선 고마가타니역에서 도보 약 5분 거리에 있으며, 낮 시간에는 보통 열차가 30분에 한 대 간격으로 운행한다.

역 앞 도로는 교통량이 많으니 보행 시 주의해야 한다.

넓은 무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나, 반대편 차선에서 진입하기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참배 증명 인장인 고슈인(御朱印)은 주지 스님이 부재중일 경우 미리 정성껏 작성된 서면 형태로 받을 수 있다.

소원을 빌 때는 경내의 '우치데노코즈치(행운의 망치)' 주위를 종을 울리면서 시계 방향으로 7번 돌고, '마니차(摩尼車)'를 돌릴 때는 '온마카캬라야소와카(オンマカキャラヤソワカ)'라고 외치며 시계 방향으로 한 번 돌린다.

경내는 약 15분 정도면 둘러볼 수 있을 정도의 규모이다.

접근 방법

🚇 대중교통 이용 시

  • 긴테쓰 미나미오사카선(近鉄南大阪線) '고마가타니역(駒ヶ谷駅)'에서 하차 후 도보 약 5분 (약 300m).
  • 고마가타니역에는 낮 시간대 보통 열차가 30분에 한 대 간격으로 운행한다.

역 앞 도로는 교통량이 많으므로 보행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자가용 이용 시

  • 사찰 내 넓은 무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주차장 진입 시 반대편 차선에서 들어오기가 다소 어려울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축제 및 이벤트

매년 8월 16일 오후 2시 - 5시 (4회 진행)

우란분절 망자 공양 법회 (盂蘭盆 送り火法要)

역사적 배경

4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665년 (덴지 천황 4년)...1734년 (교호 19년)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대흑천(大黒天)은 인도 힌두교의 시바 신에서 유래한 신으로, 불교에 수용되면서 수호신이 되었다는 얘기가 있다. 산스크리트어로 '칼라(Kala)'는 '시간'과 '검은색'을 모두 의미하여, 중국에서는 '대흑천(大黑天)'으로 번역되었고, 일본에서는 이를 '다이코쿠텐'으로 읽는다.

다이코쿠텐은 중국의 팔선(八仙)에서 유래한 일본의 칠복신(七福神) 중 한 명으로 더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과거에는 신자들이 사찰 앞을 흐르는 이시카와 강에서 대흑천을 닮은 돌을 주워 집에 모시는 풍습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경내 종루에는 중국 청나라 시대에 제작된 희귀한 중국 종이 보관되어 있다는 언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