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운젠 비드로 미술관 Unzen Vidro Museum 雲仙ビードロ美術館 |
|---|---|
| 🗺️ 소재지 | |
개요
섬세한 유리 예술품과 고풍스러운 서양 골동품에 관심이 많은 개인 또는 커플 방문객, 그리고 자신만의 독특한 기념품을 직접 만들어보고 싶은 체험형 여행객들이 주로 찾는다.
다양한 시대와 양식의 유리 공예품, 희귀한 램프 컬렉션, 유럽 귀족의 방을 재현한 전시 공간 등을 둘러볼 수 있으며, 유리 액세서리나 소품을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공예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일부 방문객은 시설이 다소 낡았다고 느끼거나, 2층 유료 전시관의 입장료(700엔)에 비해 가성비가 낮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또한, 전시관 내 일부 커튼 등에 청결 관리가 미흡하거나, 직원들의 사적인 대화 소리가 관람에 방해되었다는 지적 사항도 있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유리 공예품 및 골동품 관람
2층 전시관 성인 700엔2층 유료 전시관에서 보헤미안 및 베네치아 유리, 티파니 램프 스타일의 조명, 섬세한 장식의 고블릿과 화병 등 다채로운 유리 예술 작품과 서양 골동품을 감상할 수 있다. 구스타프, 바론, 로스차일드룸 등 귀족의 방을 재현한 공간도 특별한 볼거리이다.

나만의 유리 공예품 만들기 체험
체험 종류에 따라 다름 (예: 머리끈 제작 시 약 2,150엔 - 배송비 포함)1층 공방에서 취향에 맞는 유리 액세서리(머리끈, 목걸이 등), 스테인드글라스 풍 사진 액자, 독창적인 무늬의 유리컵 등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이 가능하다. 전문가의 친절한 지도로 초보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완성품은 여행 기념품으로 가져갈 수 있다. (일부 작품은 후일 배송)

아름다운 유리 기념품 쇼핑
상품에 따라 다양1층 무료 입장 구역에 마련된 기념품점에서는 다양한 디자인의 유리 공예품, 스테인드글라스 소품, 액세서리, 램프 등을 둘러보고 구매할 수 있다. 여행의 추억을 담을 수 있는 독특한 기념품을 찾는 재미가 있다.
추천 포토 스팟

1층 기념품점 및 공방 주변
다채로운 유리 공예품과 스테인드글라스 작품들을 배경으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체험 공방에서의 제작 과정도 기록할 만하다. (1층 촬영 가능)

미술관 외관
서양식 저택 스타일의 미술관 건물 자체가 운치 있는 배경이 된다. 계절에 따라 주변 풍경과 어우러진 모습을 담을 수 있다.
방문 팁
1층 기념품점과 체험 공방은 무료로 둘러볼 수 있으니, 시간이 부족하다면 이 공간만 가볍게 방문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2층 유료 전시관 내부는 사진 촬영이 엄격히 금지되므로, 눈으로 작품을 충분히 감상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좋다.
JAF 회원증이 있다면 입장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인근 규슈 호텔(Kyushu Hotel)에 비치된 팸플릿에 10% 할인 쿠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숙박객이라면 확인해볼 만하다.
전시관 내에 400년 된 것으로 알려진 오르골이 있으며, 100엔을 넣으면 작동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유리 공예 체험 중 일부(예: 유리컵 제작)는 완성품을 당일 수령하지 못하고 후일 배송되며, 체험비 외에 별도의 배송료(리뷰에서는 약 450엔 언급)가 추가될 수 있다.
접근 방법
📍 위치
- 운젠 온천 지구 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운젠 지옥(雲仙地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습니다.
- 운젠 우체국(雲仙郵便局)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 자가용 이용 시
- 미술관 건물 지하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날씨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대중교통 이용 시
- 운젠 온천 지역으로 향하는 버스를 이용하여 인근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접근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버스 노선 및 정류장 정보는 현지 교통 안내 확인 필요)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미술관 건물은 서양식 저택 형태로 지어져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는 언급이 있다.
2층 로스차일드의 방에는 운젠 관광 호텔의 옛 식탁 풍경을 재현해 놓은 공간이 있어, 이 지역의 과거 모습을 엿볼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
과거에는 온천 입욕 시설도 함께 운영했으나, 약 10여 년 전부터는 유리 공예 전시 및 체험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