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엔유지 정원 (규엔유지테이엔) - 국가지정명승
명칭옛 엔유지 정원 (규엔유지테이엔) - 국가지정명승
Former Enyuji Temple Garden (Nationally Designated Place of Scenic Beauty)
旧円融寺庭園(国指定名勝)
🗺️ 소재지

개요

에도 시대 초기의 아름다운 석조 정원을 감상하며 특히 벚꽃이나 연꽃 등 계절의 변화를 만끽하고, 한적한 분위기 속에서 산책이나 사진 촬영을 즐기려는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자연 경사면을 따라 조성된 정원에는 다양한 형태의 석조물과 계절마다 다른 꽃들이 어우러져 있으며, 방문객들은 벚꽃이 만개한 봄에는 꽃잎 흩날리는 풍경 속에서 여유를 즐길 수 있고 여름에는 연못에 핀 연꽃의 신비로운 자태를 감상할 수 있다.

정원 내에 별도의 주차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으로 방문할 경우 인근 주차장을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어 처음 방문하는 경우 다소 찾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핵심 평가

3.3
종합 가치
🏛️
3.8
역사 문화적 가치
👁️
4.3
시각적 매력
🔍
3.5
독특성
📸
4
포토 스팟
🌍
2.8
인지도

🏷️여행지 특성

🏆국가보물
🏰역사 유적지
👨‍👩‍👧‍👦가족 친화적
💰저예산 여행지
🏞️지역 명소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벚꽃 시즌의 절경

벚꽃 시즌의 절경

무료

봄이 되면 정원은 온통 분홍빛 벚꽃으로 물들며, 특히 긴 돌계단을 따라 이어진 벚꽃 터널은 장관을 이룬다. 연못에 비친 벚꽃과 바람에 흩날리는 꽃잎은 잊지 못할 풍경을 선사한다.

정원 전체, 특히 돌계단 주변 및 연못가
24시간 (벚꽃 시즌)
여름의 신비로운 연꽃

여름의 신비로운 연꽃

무료

여름철에는 정원 내 연못에 연꽃이 피어나 신비롭고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른 아침에 방문하면 더욱 청초하고 아름다운 연꽃을 감상할 수 있다.

정원 내 연못
24시간 (연꽃 개화 시기)
에도 초기 양식의 석조 정원

에도 초기 양식의 석조 정원

무료

자연 지형을 살려 400개가 넘는 돌로 구성된 이 정원은 에도 시대 초기의 독창적인 작정(作庭) 기법을 잘 보여준다. 삼존석을 중심으로 한 석조 배치와 7단으로 이루어진 마른 폭포(枯滝) 등은 정원의 주요 볼거리다.

정원 전체
24시간

추천 포토 스팟

벚꽃 터널과 돌계단

벚꽃 터널과 돌계단

만개한 벚꽃이 아치형을 이루는 긴 돌계단은 환상적인 사진을 남길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이다.

연못과 수면에 비친 풍경

연못과 수면에 비친 풍경

계절에 따라 벚꽃이나 연꽃이 피는 연못은 수면에 비친 아름다운 반영과 함께 정원의 정취를 담기에 좋다.

토리이와 벚꽃의 조화

토리이와 벚꽃의 조화

붉은 토리이 너머로 보이는 분홍빛 벚꽃의 대비가 아름다운, 독특한 구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방문 팁

벚꽃이 만개하는 4월 초나 여름철 연꽃이 피는 시기에 방문하면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입장료가 무료이므로 부담 없이 방문하여 정원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다.

정원 내부는 비교적 한적하여 조용히 산책하거나 피크닉을 즐기기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있다.

전용 주차장이 없으므로, 차량 방문 시에는 인근 카스가 신사 주차장이나 주변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정원 내 전용 주차 공간은 없다.
  • 인근 '카스가 신사(春日神社)'의 주차장을 이용하거나 주변 유료 주차장을 찾아야 한다.

주택가에 위치해 있어 주차 공간이 협소할 수 있다.

역사적 배경

4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1652...연도 미상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이 정원은 원래 1652년에 도쿠가와 막부를 숭배할 목적으로 건립된 엔유지라는 천태종 사찰의 일부였다고 전해진다.

정원 내에는 약 400개가 넘는 돌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중심이 되는 삼존석(三尊石)과 7단으로 구성된 마른 폭포(枯滝)의 물이 떨어지는 부분에는 흰색 석회암을 사용하는 등 창의적인 설계가 돋보인다는 얘기가 있다.

한때 오랜 기간 황폐해져 주변 나무와 풀숲에 그 모습이 가려져 있었으나, 1969년에 이르러 복원되어 현재와 같은 아름다운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정원에서 사진을 찍고 있으면 간혹 사람을 잘 따르는 하얀 고양이가 나타나 방문객에게 예기치 않은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한다는 소소한 언급이 있다.

지역 마스코트인 '오무란짱'도 이곳을 방문하여 즐겼다는 내용이 있을 정도로 현지 주민들에게도 친숙한 휴식 공간으로 여겨진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