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성산 공원(시로야마 코엔) Shiroyama Park 城山公園 |
|---|---|
| 🗺️ 소재지 | |
개요
오야마 성터의 역사적 흔적을 느끼며 계절마다 다른 자연 풍경을 즐기려는 역사 애호가나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공원 내 산책로를 따라 벚나무나 은행나무 등 다양한 수목을 감상할 수 있으며, 오모이가와 강변의 탁 트인 전망을 즐기거나 잔디밭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일부 방문객들은 주차 공간이 협소하고 공원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언급하며, 과거보다 벚나무 수가 줄었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화장실 일부 칸이 사용 불가 상태였다는 지적도 있었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feature_0_1747806339774.jpg)
오야마 성 유적 탐방
공원 전체가 과거 오야마 성(기온 성) 터로, 잘 보존된 토루와 해자 흔적을 따라 걸으며 성의 구조와 역사를 느껴볼 수 있다. 곳곳에 설치된 안내판을 통해 각 장소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feature_1_1747806386106.jpg)
계절별 자연 감상 (벚꽃, 은행나무)
봄에는 만개한 벚꽃(특히 오모이가와 벚꽃 터널)이 장관을 이루고, 가을에는 공원 중심의 거대한 은행나무가 황금빛으로 물들어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계절마다 다른 꽃들도 볼 수 있어 사계절 내내 방문객의 발길이 이어진다.
/feature_2_1747806418596.jpg)
오모이가와 강변 전망 및 휴식
공원 서쪽으로는 오모이가와 강이 흘러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하며, 강변을 따라 산책하거나 새로 설치된 벤치에서 휴식을 취하기 좋다. 여름철 오야마 불꽃놀이의 주요 관람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추천 포토 스팟
/photospot_0_1747806440315.jpg)
오모이가와 벚꽃 터널
봄철, 분홍빛 벚꽃이 만개하여 아름다운 터널을 이루는 곳이다. 특히 '오모이가와 벚꽃'은 다른 벚꽃보다 개화가 늦고 색이 진해 독특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photospot_1_1747806470202.jpg)
일본식 다리 (기온바시 추정)
공원 내에 있는 전통 양식의 다리는 주변 경관과 어우러져 운치 있는 사진을 찍기에 좋은 장소이다. 다리 위에서 또는 다리를 배경으로 촬영한다.
/photospot_2_1747806495336.jpg)
거대한 은행나무
가을이면 황금빛으로 물드는 공원 중심의 큰 은행나무는 압도적인 크기와 아름다움으로 방문객들의 주요 촬영 대상이 된다. 나무 전체 또는 단풍잎을 클로즈업하여 촬영한다.
방문 팁
공원 자체 주차장은 협소하고 진입로가 좁은 편이며, 인근 오야마 시청 주차장을 이용 가능하다는 언급이 있다.
벚꽃 시즌에는 야간 조명이 설치되어 밤 벚꽃을 감상할 수 있지만, 음식 노점의 음식 질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있다.
최근 공원 정비 사업으로 새로운 벤치가 다수 설치되었고, 산책로가 정비되어 쾌적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일부 구역은 애견 동반 산책이 허용된다.
접근 방법
🚆 전철 이용 시
- JR 오야마역(JR 도호쿠 신칸센, 도호쿠 본선, 미토선, 료모선 정차)에서 하차 후 서쪽 출구(西口)로 나와 도보 약 5~10분 거리이다.
- 역에서 '기온 성 거리(祇園城通り)'를 따라 서쪽으로 직진하면 공원 입구에 도착할 수 있다.
🚗 자가용 이용 시
- 국도 4호선(닛코 가도/오슈 가도)과 국도 50호선 교차점에서 가깝다.
- 공원 내 주차장이 있으나 공간이 협소하다는 의견이 많으므로, 인근 오야마 시청 주차장 등의 이용을 고려할 수 있다.
축제 및 이벤트
오야마 여름 불꽃놀이 (おやまサマーフェスティバル)
오야마 벚꽃 축제 (小山さくらまつり)
커피 페스티벌
역사적 배경
8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과거 오야마 성은 '기온 성(祇園城)'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성을 수호하는 신으로 기온샤(祇園社, 현재의 스가 신사)를 모셨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공원 내에는 한때 유원지처럼 귀신의 집이나 서커스, 동물 곡예단 공연 같은 볼거리가 있었다는 얘기가 있다.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자 내각 대신이었던 호시 토오루가 이 성터에 별장을 지었으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는 언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