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기쿠치 성터(기쿠치조) Kikuchi Castle 鞠智城 |
|---|---|
| 🗺️ 소재지 | |
개요
독특한 팔각형 구조의 고루와 고대 산성의 흔적을 직접 살펴보고, 드넓은 공원에서 산책하며 역사를 배우려는 학습 목적의 탐방객이나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복원된 건물들을 통해 과거의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고, 자료관에서 역사적 배경을 학습하거나 잘 정비된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주변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feature_0_1747198156210.jpg)
팔각고루 및 복원 건물군 탐방
무료 관람국내 유일의 팔각형 목조 고루(鼓楼)와 고대 건축 양식으로 복원된 병사(兵舎), 미창(米倉) 등을 둘러보며 당시 생활상을 상상해 볼 수 있다. 건물 내부는 대부분 관람이 제한되나, 일부는 창문 등을 통해 내부 구조를 엿볼 수 있다.
/feature_1_1747198166511.jpg)
온고 창생관(温故創生館) 역사 학습 및 체험
무료 입장 (일부 체험/상품 유료)기쿠치 성의 역사와 발굴 유물을 전시한 자료관으로, 역사 소개 영상을 관람하거나 '속 일본 100명성' 스탬프를 찍는 체험을 할 수 있다. 기쿠치 성 관련 기념품도 구매 가능하다.
/feature_2_1747198198406.jpg)
역사 공원 산책 및 전망 감상
무료약 55헥타르의 광대한 부지는 잘 정비된 역사 공원으로, 계절의 변화를 느끼며 산책하기에 좋다. 특히 하이즈카(灰塚) 전망대에서는 기쿠치 평야와 멀리 운젠후겐다케까지 조망할 수 있다.
추천 포토 스팟
/photospot_0_1747198211827.jpg)
팔각고루(八角形鼓楼) 앞
독특한 팔각형 건축물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다.
/photospot_1_1747198221335.jpg)
하이즈카(灰塚) 전망대
탁 트인 기쿠치 평야와 주변 산세를 배경으로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기 좋다.
/photospot_2_1747198233658.jpg)
복원된 미창(米倉) 또는 병사(兵舎) 주변
고대의 분위기를 살린 건축물과 함께 인물 사진을 찍기에 적합하다.
방문 팁
온고 창생관(방문자 센터)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어성인(御城印)과 '속 일본 100명성' 스탬프를 기념으로 받을 수 있다.
방문 전 온고 창생관에서 기쿠치 성 역사 소개 영상을 시청하면 유적 이해에 도움이 된다.
공원 내 카페에서는 밤을 이용한 밤 우유, 밤 페이스트, 밤 카스텔라, 몽블랑 케이크 등 지역 특산 디저트와 크래프트 맥주를 판매한다.
부지가 매우 넓으므로 전체를 꼼꼼히 둘러보려면 최소 1시간 30분 이상 소요된다.
온고 창생관(자료관)은 월요일이 휴관일 경우가 있으니 방문 계획 시 참고한다.
화장실은 온고 창생관 건물 내에 마련되어 있다.
하이즈카 전망대에서는 날씨가 좋으면 멀리 운젠 후겐다케 산까지 조망할 수 있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가장 편리한 접근 방법으로, 공원 내에 넓은 무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 주요 고속도로 IC에서 약 20~3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검색 시 '기쿠치성(鞠智城)' 또는 전화번호 '+81-968-48-3178'을 입력한다.
- 주차는 온고 창생관 건물 주변에 가능하다.
🚌 대중교통 이용
- JR 신타마나역(新玉名駅) 또는 구마모토 시내에서 버스를 이용하여 야마가 버스센터(山鹿バスセンター)로 이동 후, 택시 또는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해야 한다.
- 버스센터에서 기쿠치 성터까지는 거리가 상당하므로 택시 이용이 현실적이다.
대중교통만으로는 접근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축제 및 이벤트
코로군(ころう君) 순찰 이벤트
역사적 배경
6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기쿠치 성터의 이름 '기쿠치(鞠智)'는 옛 문헌에서 사용되던 표기라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 전국적으로도 드문 팔각형 목조 고루(鼓楼)는 기쿠치 성터의 가장 큰 특징이며, 단순한 망루가 아니라 북을 쳐서 신호를 보내던 통신 시설을 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터 내에서 발견된 팔각형 건물터와 백제 양식의 기와 등은 백제 유민들이 성의 건설이나 운영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백제와의 깊은 관련성을 보여준다.
성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코로군(ころう君)'의 활동 거점이기도 하며, 이벤트 시 만날 수 있다는 언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