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국립경기장 Japan National Stadium 国立競技場 |
|---|---|
| 🗺️ 소재지 | |
개요
2020 도쿄 올림픽의 주경기장으로 사용된 이곳은 축구, 럭비 등 주요 스포츠 경기를 직접 관람하거나 대규모 콘서트 및 이벤트를 경험하고자 하는 스포츠 팬 및 공연 애호가들이 주로 방문한다.
방문객들은 최첨단 시설에서 국제적인 수준의 경기를 관람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에 참여하여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 경기장 외부의 독특한 목재 건축미를 감상하거나 주변 공원을 산책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설 과정에서 초기 설계안 변경, 예산 증액 문제, 후쿠시마산 목재 사용 등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완공 이후에도 높은 대관료와 올림픽 이후 활용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있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쿠마 켄고의 목재 활용 친환경 건축
세계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가 설계를 맡아 일본 47개 모든 도도부현에서 조달한 목재를 경기장 건축에 활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호류지 오층목탑의 처마에서 영감을 받은 지붕 디자인과 자연풍을 최대한 활용하는 환기 시스템 등 친환경적인 요소가 돋보인다.

2020 도쿄 올림픽의 역사적 현장
2020 도쿄 하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개회식, 폐회식, 그리고 육상 경기가 펼쳐진 역사적인 장소이다. 올림픽의 감동과 순간들을 떠올리며 경기장의 웅장함과 특별한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다.

다채로운 스포츠 및 문화 이벤트 개최
일본 축구 및 럭비 국가대표팀의 경기는 물론,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 결승전, J리그컵 결승전 등 주요 스포츠 이벤트가 열린다. 또한, 유명 아티스트들의 대규모 콘서트 및 다양한 문화 행사도 개최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된다.
추천 포토 스팟

경기장 정면 외관 (쿠마 켄고의 목조 디자인)
일본 전통 건축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목재 외관 전체를 담을 수 있는 포인트. 특히 나무 사이로 스며드는 햇빛이나 야간 조명 시 아름답다.

관중석 상단에서 바라본 필드 및 경기장 전체 전경
광활한 필드와 독특한 지붕 구조, 그리고 관중석의 웅장함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뷰. 올림픽의 열기를 상상하며 촬영하기 좋다.

경기장 주변 산책로 및 녹지 공간
경기장과 조화를 이루는 주변의 녹지 공간에서 자연과 어우러진 경기장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연출한다.
접근 방법
🚇 지하철 이용
- 도에이 오에도선 '고쿠리츠쿄기조역(国立競技場駅, E25)' A2 출구에서 바로 연결된다.
- JR 주오·소부선 '센다가야역(千駄ケ谷駅, JB12)' 또는 '시나노마치역(信濃町駅)'에서 도보 약 5~10분 거리에 위치한다.
행사 시에는 주변 교통이 매우 혼잡하므로 대중교통 이용이 권장된다.
주요 정기 이벤트 및 예정 행사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결승전
J리그컵 결승전 (YBC 르방컵 결승전)
2025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역사적 배경
8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경기장 건설에는 일본 47개 모든 도도부현에서 조달된 목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메이지 신궁을 건설할 때의 전통을 따른 것이라고 전해진다.
초기 자하 하디드의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안은 공사비 증액 문제와 함께 '일본적이지 않다'는 비판을 받으며 백지화된 일화가 있다.
건설 과정에서 한 건설 노동자가 과로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경기장 일부에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목재가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방사능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올림픽 이후 경기장의 활용 방안을 두고 축구 전용 구장으로의 개조, 육상 트랙 존치 등 다양한 의견이 대립했으나, 결국 202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유치로 육상 트랙은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J리그 일부 구단은 국립경기장의 높은 사용료에 부담을 느껴 홈 경기 개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대중매체에서
러브 라이브! 슈퍼스타!! (ラブライブ!スーパースター!!)
작품의 배경이 시부야 및 그 인근 지역이기 때문에 국립경기장이 종종 배경으로 등장한다. 특히 애니메이션 오프닝 곡 장면과 작중 주요 대회인 '러브 라이브!' 최종 결승전 무대로 비중 있게 다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