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원사(요간지)
명칭양원사(요간지)
Yōganji Temple
養願寺
🗺️ 소재지

개요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에서 고즈넉한 분위기를 느끼며 참배하거나, 특히 자녀의 지혜와 복덕을 기원하는 '십삼참배(十三詣り)'를 위해 방문하는 가족 단위 방문객 및 불교 신자들이 주로 찾는다.

경내를 둘러보며 본존인 허공장보살을 비롯한 여러 불상을 참배할 수 있고, 매월 13일 열리는 연등회나 봄, 가을 대제 기간에는 특별한 종교 행사에도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잠시 명상의 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사찰 입구가 다소 좁은 골목 안쪽에 위치하여 처음 방문하는 경우 찾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핵심 평가

2.3
종합 가치
🏛️
3
역사 문화적 가치
👁️
2.5
시각적 매력
🔍
2.8
독특성
📸
1.8
포토 스팟
🌍
1.5
인지도

🏷️여행지 특성

🎭축제
🏰역사 유적지
👨‍👩‍👧‍👦가족 친화적
🧒아이 친화적
💰저예산 여행지
🏞️지역 명소
👨‍👩‍👧가족 여행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십삼참배(十三詣り) 명소

아이들이 13세부터 15세 사이에 참배하면 복(福), 덕(徳), 지혜(智慧)를 받을 수 있다고 전해지는 '십삼참배'로 잘 알려져 있다. 많은 가족들이 자녀의 성장을 기원하며 이곳을 찾는다.

양원사 경내

이미지가 없습니다

허공장보살(虚空蔵菩薩) 참배

본존으로 지혜를 관장하는 허공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특히 소띠와 호랑이띠 해에 태어난 사람들의 수호 본존으로도 신앙을 받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지혜를 구하기 위해 참배한다.

양원사 본당

이미지가 없습니다

고요한 경내와 다양한 문화재

도심 속에 위치하면서도 비교적 조용하고 아담한 경내를 가지고 있어 평온하게 참배하거나 산책하기 좋다. 동조아미타여래입상(銅造阿弥陀如来立像)과 목조부동삼존상(木造不動三尊像)은 시나가와구 지정 유형문화재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불상들을 직접 볼 수 있다.

양원사 경내

방문 팁

고슈인(御朱印)은 요청 시 받을 수 있으며, 허공장보살, 아미타여래, 부동명왕 세 종류가 있다는 정보가 있다. 방문 시 문의하는 것이 좋다.

매월 13일 연등회에는 호마쿠(護摩供) 의식이 거행되는데, 이때 방문하면 특별한 종교적 분위기를 경험할 수 있다.

입구가 구 도카이도에서 좁은 골목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특히 처음 방문 시에는 지도를 잘 확인하거나 주변 상인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다.

도카이 시치후쿠진(東海七福神) 중 하나인 포대존(布袋尊)도 모시고 있어, 시치후쿠진 순례를 하는 사람들도 방문한다.

접근 방법

🚇 전철 이용 시

  • 게이큐(京急) 본선 신반바(新馬場) 역 북쪽 출구에서 도보 약 4~5분 소요된다.
  • 구 도카이도(旧東海道)에서 한 블록 안쪽으로 진입하면 찾을 수 있다. 이신지(一心寺) 맞은편 골목으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

입구가 주택가 골목 안쪽에 있어 다소 찾기 어려울 수 있으니, 지도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축제 및 이벤트

매년 4월, 13일에 가까운 토요일 및 일요일

봄 대제 (春季大祭)

매년 11월, 13일에 가까운 토요일 및 일요일

가을 대제 (秋季大祭)

매월 13일

월례 연등회 (月例縁日)

역사적 배경

2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1299년 (쇼안 원년)...1661년~1672년 (간분 연간)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본존인 허공장보살상은 지카쿠대사(慈覚大師) 작이라는 설과 함께, 일본 진언종의 창시자인 공해(空海) 대사 작이라는 설도 전해진다.

경내에 안치된 동조아미타여래입상은 나가노현의 유명 사찰인 젠코지(善光寺) 본존불을 모방하여 가마쿠라 시대에 만들어진 여러 불상 중 하나로 여겨진다는 얘기가 있다.

양원사는 도카이 시치후쿠진(東海七福神) 순례 코스에 포함되어 있으며, 포대존(布袋尊)을 모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사찰의 경내가 현재보다 넓어 구 도카이도(旧東海道)까지 직접 이어졌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주변이 주택가로 빽빽하게 둘러싸여 있어, 도심 속 사찰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모해왔는지를 엿볼 수 있다는 언급이 있다. 고양이들이 한가롭게 쉬는 모습도 종종 목격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