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후사이니 현수교(후사이니 서스펜션 브리지) Hussaini Suspension Bridge حسینی سسپنشن پل |
---|---|
🗺️ 소재지 | |
개요
후사이니 현수교는 훈자강 위를 가로지르는 아찔한 경험과 함께 파수콘의 극적인 풍경을 사진으로 남기려는 모험심 강한 여행객 및 독특한 풍경을 찾는 탐방객들이 주로 찾는다.
방문객들은 흔들리는 나무 발판을 따라 다리를 직접 건너며 발아래로 흐르는 거센 강물과 주변 카라코람 산맥의 웅장함을 체험할 수 있고, 추가 요금을 내면 짚라인을 타고 강 위를 활강하는 활동도 즐길 수 있다.
일부 방문객들은 다리의 흔들림과 넓은 발판 간격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특히 바람이 강한 날에는 이러한 점이 더욱 두드러진다는 언급이 있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후사이니 현수교 횡단 체험
입장료에 포함 (현지인 100 PKR, 외국인 200 PKR)훈자강 위를 가로지르는 약 194m 길이의 나무 현수교를 직접 건너는 스릴 넘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다리가 바람에 흔들리고 발판 사이 간격이 있어 담력이 요구되지만, 구명조끼가 제공되어 안전을 도모한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파수콘 및 카라코람 산맥 조망
다리 위와 주변 지역에서 '파수콘(Passu Cones)'으로 알려진 독특한 산봉우리들과 웅장한 카라코람 산맥의 파노라마 절경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해 질 녘이나 계절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풍경이 인상적이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훈자강 짚라인 체험
편도 1000 PKR, 왕복 1500 PKR다리 옆에 설치된 짚라인을 타고 훈자강 위를 활강하는 짜릿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다. 다리를 건너는 것과는 또 다른 시각에서 주변 경치를 감상하며 스릴을 만끽할 수 있다.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후사이니 현수교 중앙
다리 중앙에서 흔들림을 느끼며 파수콘과 훈자강을 배경으로 아찔한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다리 입구 (파수콘 방향)
다리로 진입하기 전, 특히 파수콘이 잘 보이는 각도에서 다리와 함께 전체적인 풍경을 담을 수 있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강 건너편에서 바라보는 다리
다리를 건너간 후 반대편에서 후사이니 마을과 함께 현수교의 전체적인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방문 팁
휴대폰이나 카메라를 강물에 빠뜨리는 경우가 있으니, 사진 촬영 시 스트랩 사용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다리 건너편에는 특별한 관광 시설이 없으며, 반대편 마을까지는 상당한 도보 이동이 필요하다.
입장료는 현지인 100 PKR, 외국인 200 PKR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리 주변 노점에서 현지 여성들이 운영하는 욕맘투(Yok Mamtu), 체리 주스 등 특색 있는 간식을 맛볼 수 있다.
주차는 구잘 마을에 무료로 가능하며, 매표소 및 다리까지 도보 이동이 필요하므로 편한 신발 착용이 권장된다.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다리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으므로 방문 전 날씨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접근 방법
🚗 자가용/렌터카 이용
- 카라코람 하이웨이(Karakoram Highway)를 따라 이동하다 후사이니 마을 방면으로 진입한다.
- 인근 구잘(Gujal) 마을에 무료 주차가 가능하며, 이곳에서부터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알리아바드(Aliabad)에서 약 45km, 길기트(Gilgit)에서 약 132km 떨어져 있다.
🚶 도보 이동 (주차 후)
- 구잘 마을 주차장에서 매표소까지 약 10분 정도 걷는다.
- 매표소에서 다리까지는 약 15분간 내리막길을 따라 이동한다.
- 다리 체험 후 돌아올 때는 오르막길을 약 20-30분 정도 걸어야 한다.
역사적 배경
2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이 다리는 한때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다리 중 하나로 여러 국제 매체에 소개된 바 있다는 얘기가 있다.
다리 발판 사이의 간격이 넓게 설계된 것은 강풍의 저항을 줄여 다리 전체의 흔들림을 제어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식이라는 언급이 있다.
과거에는 현재보다 더 낡고 위험한 상태였으나, 관광객 증가와 안전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비교적 보강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