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크레몬 포인트/모스만 베이 워크 Cremorne Point/Mosman Bay Walk |
---|---|
🗺️ 소재지 | |
개요
시드니 하버의 상징적인 랜드마크와 어우러진 아름다운 해안 풍경을 감상하며 여유로운 산책이나 가벼운 하이킹을 즐기고자 하는 개인 여행객 및 커플들이 주로 찾는다.
잘 정비된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오페라 하우스와 하버 브리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할 수 있고, 곳곳에 마련된 잔디밭이나 벤치에서 피크닉을 즐기거나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일부 산책로 구간이 보수 공사 중이어서 통행에 불편이 있거나 우회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시드니 하버 파노라마 뷰
산책로 곳곳에서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하버 브리지 등 시드니의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포함된 환상적인 파노라마 뷰를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크레몬 리저브에서 바라보는 전망이 뛰어나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해안가 워킹 및 피크닉
잘 관리된 산책로를 따라 상쾌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걷거나 조깅을 즐길 수 있으며, 넓은 잔디밭과 곳곳의 벤치는 피크닉을 즐기기에 이상적이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페리 이용 및 주변 탐방
크레몬 포인트 페리 선착장에서 시작하거나 끝낼 수 있어 페리를 이용한 접근이 편리하며, 주변의 조용한 주거 지역과 작은 공원들을 함께 둘러보는 재미도 있다.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크레몬 리저브 (Cremorne Reserve)
시드니 시내 스카이라인과 하버 브리지를 정면으로 담을 수 있는 최고의 장소로, 특히 해 질 녘 노을과 함께 촬영하면 더욱 아름답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로버트슨 포인트 등대 (Robertsons Point Lighthouse)
아담한 등대와 함께 펼쳐지는 시드니 하버의 풍경을 한 프레임에 담을 수 있는 고즈넉한 포토존이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맥칼럼 풀 (Maccallum Pool) 근처
독특한 해수 수영장과 어우러진 하버 뷰를 배경으로 특별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방문 팁
편안한 운동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방문 전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맑은 날 방문하는 것이 풍경을 즐기기에 좋다.
크레몬 포인트 페리 선착장 또는 올드 크레몬 선착장에서 시작하거나 마칠 수 있으니, 페리 시간표를 미리 확인하면 편리하다.
일부 산책로 구간이 보수 공사 중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거나 현장 안내에 따라 우회할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주차 공간이 제한적이고 유료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중교통 이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특히 주말에는 주차 단속이 엄격하다는 얘기가 있다.
접근 방법
⛴️ 페리 이용
- 서큘러 키(Circular Quay)에서 모스만 베이(Mosman Bay) 방면 페리를 탑승한다.
- 크레몬 포인트 페리 선착장(Cremorne Point Wharf) 또는 올드 크레몬 선착장(Old Cremorne Wharf)에서 하선하여 산책을 시작할 수 있다.
페리 시간표는 Transport NSW 웹사이트나 앱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 버스 이용
- 시내 또는 노스 시드니 지역에서 225번 버스를 이용하면 크레몬 포인트 인근에 접근할 수 있다.
- 버스 노선 및 정류장 정보는 Transport NSW에서 확인 가능하다.
🚶 도보 이용
- 뉴트럴 베이(Neutral Bay)에서 크레몬 포인트까지 이어지는 해안 산책로를 따라 걸어올 수도 있다.
역사적 배경
6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크레몬 포인트라는 이름은 19세기 중반 런던의 인기 있는 유원지였던 '크레몬 가든스(Cremorne Gardens)'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지역은 본래 원주민 카메라리갈(Cammeraygal) 부족의 땅이었으며, 유럽인 정착 이전에는 '울와라정(Wul-warra-Jeung)'이라 불렸다고 전해진다.
과거 이 지역에서 석탄 채굴 시도가 있었으나, 환경 문제와 주민 반대로 무산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부 방문객들은 온라인 지도 서비스에 표시된 '모스만 베이'의 지리적 위치가 실제와 다르다고 지적하며, 이를 '마운트위즐(Mountweazel)', 즉 지도 등에 의도적으로 삽입된 허위 정보에 비유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