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 국회의사당 (팔러먼트 하우스)
명칭호주 국회의사당 (팔러먼트 하우스)
Parliament House
Parliament House, Canberra
🗺️ 소재지

개요

호주 국회의사당은 독특한 현대 건축물과 호주 정치의 중심지를 직접 경험하고 싶은 건축 애호가, 역사 및 정치에 관심 있는 탐방객, 그리고 탁 트인 도시 전망을 즐기려는 일반 방문객들이 주로 찾는다. 일부 방문객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주변 경관과 함께 이곳을 둘러보기도 한다.

방문객들은 가이드 투어를 통해 의회 운영 방식과 건물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상원과 하원 회의실을 둘러보고, 인상적인 예술품 컬렉션을 감상하거나 잔디로 덮인 옥상에 올라 캔버라의 전경을 조망할 수 있다. 건물 내 카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기념품점에서 관련 상품을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일부 방문객들은 주차 요금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며, 건물의 구조가 의원들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다소 어렵게 만든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또한, 투어 관련 전화 문의 응대가 원활하지 않았다는 소수의 경험도 있다.

핵심 평가

4
종합 가치
🏛️
4.3
역사 문화적 가치
👁️
4
시각적 매력
🔍
3.8
독특성
📸
3.8
포토 스팟
🌍
3.5
인지도

🏷️여행지 특성

🏰역사 유적지
👨‍👩‍👧‍👦가족 친화적
🧒아이 친화적
🏞️지역 명소
🏛️역사적 건물
🎓학생 친화적
👨‍👩‍👧가족 여행
🧓노년층
장애인 접근성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독특한 건축물 및 잔디 옥상 체험

무료

캐피털 힐을 덮는 듯한 독특한 부메랑 형태의 건축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방문객들은 잔디로 덮인 지붕 위를 직접 걸어볼 수 있으며, 81m 높이의 거대한 국기봉 아래에서 캔버라의 탁 트인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 팁: 옥상에서는 구 국회의사당과 호주 전쟁기념관까지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캔버라의 계획도시 면모를 조망하기 좋다.
건물 옥상 및 외부
건물 운영시간 내

이미지가 없습니다

의회 민주주의 체험 (가이드 투어 및 회의 방청)

무료 (일부 특별 투어 유료)

무료 가이드 투어를 통해 호주 의회의 역사, 기능, 건축적 상징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상원(붉은색)과 하원(녹색) 회의실을 직접 둘러볼 수 있으며, 의회 회기 중에는 일반석에서 실제 의사진행 과정을 방청할 수도 있다.

💡 팁: 무료 'Heart of the House' 투어가 인기 있으며, 의회 회기 중 질의응답 시간(Question Time) 방청은 특히 흥미로운 경험이 될 수 있으니 사전에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상원 및 하원 회의실, 주요 공용 공간
투어 및 회기 일정에 따라 다름

이미지가 없습니다

호주 예술 및 역사 전시 관람

무료

건물 곳곳에는 호주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예술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그레이트 홀의 거대한 아서 보이드 태피스트리는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하며, 역대 총리들의 초상화 갤러리도 볼만하다.

💡 팁: 입구 포어코트 바닥의 원주민 예술가 마이클 넬슨 자가마라의 모자이크 작품 '포섬과 왈라비의 꿈'도 놓치지 말자.
그레이트 홀, 포어코트, 복도 갤러리 등
건물 운영시간 내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국회의사당 옥상

캔버라 시내, 벌리 그리핀 호수, 구 국회의사당, 호주 전쟁기념관까지 이어지는 탁 트인 파노라마 전경을 담을 수 있다. 특히 일몰 시간대에 방문하면 아름다운 하늘과 도시의 모습을 함께 촬영 가능하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정면 광장 (Forecourt)

국회의사당 건물의 독특한 건축미와 81m 높이의 거대한 국기봉을 한 프레임에 담을 수 있다. 바닥의 '포섬과 왈라비의 꿈' 모자이크와 함께 촬영하는 것도 의미 있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그레이트 홀 (Great Hall)

아서 보이드의 거대한 태피스트리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다. 높은 천장과 넓은 공간이 웅장함을 더한다.

방문 팁

무료 가이드 투어는 보통 오전 10시, 오후 1시, 오후 3시에 진행되며, 호주 의회와 건물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주말 방문 시, 건물 앞 잔디밭 옆 무료 주차 공간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지하 주차장은 첫 1시간만 무료이다.

의회 회기 중이라면 오후 2시부터 시작되는 질의응답 시간(Question Time)을 방청할 수 있다. 하원 방청은 사전에 전화 예약(Serjeant-at-arms +61 2 6277 4889)하는 것이 좋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 옥상에 올라가면 캔버라 시내의 아름다운 파노라마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구 국회의사당과 전쟁기념관까지 조망 가능하다.

건물 내 카페에서 커피와 케이크를 즐기며 잠시 쉬어가거나, 기념품점에서 호주 의회 관련 기념품을 구매할 수 있다.

레고로 만들어진 국회의사당 모형도 흥미로운 볼거리 중 하나이다.

방문 전 공식 웹사이트에서 현재 진행 중인 전시나 특별 프로그램, 운영 시간 변경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캔버라 시내에서 Commonwealth Avenue, Kings Avenue, Adelaide Avenue 등을 통해 Capital Hill로 접근.
  • 건물 지하에 유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주말이나 특정 조건 하에 무료 주차가 가능할 수 있다.
  • 건물 앞 잔디밭 근처에도 주차 공간이 있을 수 있다.

🚌 버스 이용

  • 캔버라의 주요 버스 노선(ACTION R2, R4, R5, R6, R7, R10 등)이 국회의사당 인근을 경유한다.
  • 자세한 노선 및 시간표는 Transport Canberra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 자전거 이용

  • 캔버라는 자전거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자전거로 방문하기 좋다.
  • 국회의사당 주변 및 주차장에 자전거 보관 시설이 있다.

Cycle Canberra 등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기차 이용

  • 캔버라 기차역(Kingston 소재)에 하차 후, 택시 또는 버스를 이용하여 국회의사당으로 이동해야 한다.

축제 및 이벤트

매년 2월 말 ~ 3월 초 (예: 2025년 2월 28일 ~ 3월 10일)

캔버라 인라이튼 페스티벌 (Enlighten Festival)

역사적 배경

8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1901년...1988년 5월 9일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국회의사당 중앙에 솟은 81m 높이의 국기봉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었으며, 그 무게만 250톤에 달한다. 게양되는 호주 국기는 가로 12.8m, 세로 6.4m 크기로, 무게는 약 15kg이다.

건물 부지는 약 32헥타르(80에이커)에 이르며, 완공 당시 언덕의 원래 높이보다 4m 더 높게 지어졌다. 건설 과정에서 약 100만 세제곱미터의 암석이 발파되었다.

초기에는 구 국회의사당을 철거하여 신 국회의사당에서 벌리 그리핀 호수와 호주 전쟁기념관까지 막힘없는 조망을 확보하려 했으나, 역사적 건물 보존을 위한 노력으로 구 국회의사당은 현재 박물관으로 남아있다.

건물 입구 포어코트(Forecourt) 바닥의 '포섬과 왈라비의 꿈(Possum and Wallaby Dreaming)' 모자이크는 원주민 예술가 마이클 넬슨 자가마라의 작품으로, 약 9만 개의 화강암 조각을 수작업으로 제작하여 완성하는 데 1년 반에서 2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포이어(Foyer)의 대리석 바닥에는 고대 새우 화석이 발견된 부분이 있으며, 이는 방문객들에게 작은 재미를 선사한다. 또한, 포이어의 기둥 색깔은 호주 유칼립투스 나무의 색을 모티브로 했다.

그레이트 홀에 걸린 거대한 태피스트리는 아서 보이드의 그림 '무제 (숄헤이븐 풍경)'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가로 20m, 세로 9m로 세계에서 가장 큰 태피스트리 중 하나로 꼽힌다.

하원 회의실은 초록색, 상원 회의실은 붉은색 계열로 꾸며져 있는데, 이는 영국 의회의 전통을 따른 것이지만, 색조는 호주 자연의 색(유칼립투스 잎, 아웃백의 흙색)을 반영하여 차분하게 조정되었다.

건물 내에는 약 2,600개의 시계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원 표결 시에는 녹색 불이, 상원 표결 시에는 붉은색 불이 깜빡이며 의원들에게 알려준다.

2011년에는 상원 건물 지붕 등에 43.3k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시범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