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즈먼 다리 (Tasman Bridge)
명칭태즈먼 다리 (Tasman Bridge)
Tasman Bridge
Tasman Bridge
🗺️ 소재지

개요

호바트의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며 더웬트 강의 아름다운 전망을 제공하는 이 다리는 도시 전경, 산, 바다를 한눈에 담고 싶은 사진 애호가나 산책을 즐기는 여행자들이 주로 찾는다.

방문객들은 다리 위를 걸어서 건너거나 자전거를 타며 주변 경치를 감상할 수 있고, 특히 해 질 녘이나 밤에는 조명과 어우러진 환상적인 야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일부 방문객들은 보행로나 자전거 도로가 다소 좁고 바람이 강하게 불어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자전거 이용자에게는 위험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한다.

핵심 평가

3.5
종합 가치
🏛️
3.8
역사 문화적 가치
👁️
4
시각적 매력
🔍
3.3
독특성
📸
3.8
포토 스팟
🌍
3.5
인지도

🏷️여행지 특성

🎭축제
🏰역사 유적지
👨‍👩‍👧‍👦가족 친화적
💰저예산 여행지
🏛️역사적 건물
🧭초보 여행자
🚶솔로 트래블러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파노라마 전망 감상

다리 위에서는 호바트 시내 중심부, 광활한 더웬트 강, 장엄한 마운트 웰링턴, 그리고 멀리 바다까지 이어지는 숨 막히는 파노라마 전경을 사계절 내내 감상할 수 있다. 특히 맑은 날에는 시야가 탁 트여 더욱 인상적인 풍경을 제공한다.

다리 위 보행로 및 차량 진행 중

이미지가 없습니다

야경 및 일몰 감상

해 질 녘에는 붉게 물드는 하늘과 함께 로맨틱한 일몰을, 밤에는 아름다운 LED 조명으로 빛나는 다리와 호바트 도시의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다양한 색상으로 변하는 조명은 특별한 날이나 행사를 기념하기도 한다.

다리 위 또는 인근 전망 지점 (예: 몬태규 베이, 로즈니 포인트)
일몰 후 ~ 심야

이미지가 없습니다

도보 및 자전거 횡단 체험

다리 양쪽에 마련된 보행자 및 자전거 공유 도로를 따라 더웬트 강 위를 직접 건너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상쾌한 강바람을 맞으며 주변 경치를 여유롭게 즐길 수 있으나, 도로 폭이 다소 좁고 바람이 강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리 양측 보행로/자전거 도로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다리 중앙부 (양방향 조망)

마운트 웰링턴을 배경으로 한 호바트 시내 전경 또는 반대편 동부 해안과 강 하류를 넓게 담을 수 있는 지점이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몬태규 베이 또는 로즈니 포인트

다리 전체의 웅장한 모습과 함께 더웬트 강, 호바트 스카이라인을 한 프레임에 담을 수 있으며, 특히 야경 촬영에 좋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다리 위 보행로 (일몰/일출 시)

해가 뜨고 지는 순간의 극적인 하늘색 변화와 함께 다리의 실루엣, 반사되는 강물의 모습을 촬영하기 좋은 곳이다.

방문 팁

일몰 시간에 맞춰 방문하면 서쪽으로 지는 해와 함께 붉게 물드는 하늘, 그리고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어우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밤에는 다리의 LED 조명이 켜져 아름다운 야경을 연출하며, 특별한 행사 기간에는 테마 조명도 볼 수 있다.

도보나 자전거로 다리를 건널 계획이라면 바람이 강하게 불 수 있으므로, 가벼운 바람막이 재킷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는 폭이 다소 좁으므로, 다른 이용자들과 안전거리를 유지하며 통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형 선박이 다리 아래를 통과할 때는 안전을 위해 일시적으로 차량 및 보행자 통행이 통제될 수 있다.

다리 위에는 고정식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 운행 시 규정 속도를 준수해야 한다.

접근 방법

🚗 자가용 이용

  • 태즈먼 하이웨이(Tasman Highway)의 일부로, 호바트 국제공항에서 시내로 진입하거나 호바트 시내(서부)와 클라렌스 시(동부)를 오갈 때 통과하게 된다.

다리 위에는 주차 공간이 없으므로, 주변 지역의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 버스 이용

  • 호바트 시내와 동부 지역을 연결하는 다수의 Metro Tasmania 버스 노선이 태즈먼 다리를 경유한다.

구체적인 노선 및 시간표는 Metro Tasmani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도보 또는 🚲 자전거 이용

  • 다리 양쪽에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공유 도로가 마련되어 있어, 걸어서 또는 자전거로 다리를 건널 수 있다.

도로 폭이 다소 좁고 바람이 강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2010년 접근성 개선을 위한 램프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다.

축제 및 이벤트

매년 6월경 (Dark Mofo 축제 기간)

Dark Mofo 기간 특별 조명

매년 TasPride 축제 기간 중

TasPride 퍼레이드 기념 조명

역사적 배경

12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1950년대...2024년 9월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태즈먼 다리는 1965년 공식 개통 당시 호주에서 가장 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다리였다고 알려져 있다.

1975년 1월 5일, 벌크선 SS 레이크 일라와라 호가 다리 기둥과 충돌하여 교각 2개와 상판 3개가 붕괴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사고로 선원 7명과 차량 탑승자 5명 등 총 12명이 사망했다.

붕괴 사고 당시 침몰한 SS 레이크 일라와라 호는 아연 정광 약 1만 톤을 싣고 있었는데, 이 화물이 강물과 섞여 시멘트처럼 굳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침몰한 SS 레이크 일라와라 호의 잔해는 여전히 강바닥에 있으며, 수심 약 35m 지점에 위치하여 다이버들이 탐사하기도 한다.

다리의 중앙 차선은 출퇴근 시간 교통량에 따라 진행 방향이 자동으로 바뀌는 가변 차로제로 운영되어 교통 흐름을 조절한다.

2021년 완비된 LED 조명 시스템은 Dark Mofo, TasPride 퍼레이드 등 다양한 행사와 기념일에 맞춰 원격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채로운 색상으로 다리를 밝힌다.

1975년 다리 붕괴로 호바트 시가 동서로 완전히 분리되자, 동부 교외 지역 주민들은 북쪽의 브릿지워터 다리까지 약 50km를 우회해야 하는 큰 불편을 겪었다.

붕괴 사고의 교훈으로 이후 호바트에는 보웬 브리지(Bowen Bridge)가 추가로 건설되어, 태즈먼 다리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체 경로 역할을 하도록 대비했다.

1975년 사고 당시 충돌 충격으로 다리 위의 가로등이 모두 꺼지면서, 붕괴된 부분을 미처 인지하지 못한 차량 4대가 어둠 속으로 추락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다리 재건축 시 일본의 'Nippon clip-on' 공법을 사용하여 차선을 5개로 확장했다고 한다.

대중매체에서

Documentary2022

Dividing Impact: The Tasman Bridge Collapse

1975년 태즈먼 다리 붕괴 사고와 그 여파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