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북부 역사 박물관(무세오 이스토리코 델 노르테) History Museum of the North Museo Histórico del Norte |
---|---|
🗺️ 소재지 | |
개요
살타와 아르헨티나 북부의 선사 시대부터 식민지 시대, 독립 전쟁기를 아우르는 역사와 문화에 깊은 관심이 있는 역사 애호가나 문화 탐방객들이 주로 방문한다. 특히 잘 보존된 식민지 시대 건축물과 다양한 유물을 통해 과거를 생생하게 느끼고 싶은 이들에게 적합하다.
방문객들은 18세기에 지어진 카빌도 건물의 건축적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여러 전시실을 둘러보며 고고학적 유물, 식민지 시대 가구, 종교 예술품, 역사 문서, 옛 마차 등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2층 발코니에서는 9월 9일 광장의 활기찬 풍경을 조망하며 잠시 여유를 즐길 수도 있다.
다만, 많은 방문객들이 영어 설명이 부족하여 외국인 관광객이 전시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을 아쉬움으로 언급한다.
핵심 평가
🏷️여행지 특성
주요 특징
이미지가 없습니다
역사적인 카빌도 건물과 건축미
무료18세기에 지어진 살타의 역사적인 카빌도 건물 자체를 탐방하며 식민지 시대 건축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아치형 복도와 넓은 안뜰, 9월 9일 광장이 내려다보이는 발코니는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다양한 시대별 역사 유물 컬렉션
무료선사 시대 토기부터 잉카 유물, 식민지 시대의 가구와 예술품, 독립 전쟁 관련 자료, 옛 마차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역사 유물을 시대별로 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르헨티나 북부 지역의 역사적 흐름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무료 입장 및 교육적 가치
무료입장료가 무료여서 부담 없이 방문하여 살타 및 아르헨티나 북부의 풍부한 역사를 탐구할 수 있다. 특히 학생이나 역사에 관심 있는 방문객에게 유익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한다.
추천 포토 스팟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카빌도 건물 외관 및 발코니
아름다운 아치와 식민지풍 발코니가 있는 건물 정면은 박물관의 상징적인 모습을 담을 수 있다. 2층 발코니에서는 9월 9일 광장을 배경으로 멋진 사진을 남길 수 있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내부 안뜰 (Patio)
잘 가꾸어진 식물과 아치형 복도로 둘러싸인 평화로운 안뜰은 다채로운 각도에서 아름다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공간이다.
포토 스팟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꽃 장식 벽 (Flower Wall)
일부 방문객들은 박물관 내부에 아름다운 꽃으로 장식된 벽이 있어 사진 촬영 명소로 좋았다고 언급한다.
방문 팁
입장료는 무료이지만, 자율적인 기부금(Bono Contribución)을 받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설명이 스페인어로 되어 있어, 스페인어를 모르는 경우 전시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사진 촬영은 가능하지만, 유물 보호를 위해 플래시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정해진 시간에 무료 또는 유료 가이드 투어가 있을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하거나 도착 후 문의하면 유익한 관람이 될 수 있다.
박물관 내부에 깨끗한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접근 방법
🚶 도보
- 살타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7월 9일 광장(Plaza 9 de Julio)에 면해 있어, 살타 대성당, 고산 고고학 박물관(MAAM) 등 주요 관광 명소에서 도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대중교통
- 7월 9일 광장 주변으로 다수의 시내버스 노선이 운행되므로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 택시 및 차량 공유 서비스
- 살타 시내에서는 택시나 차량 공유 서비스(우버 등)를 이용하여 쉽게 도착할 수 있다.
역사적 배경
4개의 역사적 사건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치기
주변 명소
이 장소 주변에는 표시할 명소가 없습니다.
여담
살타의 카빌도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완전하고 잘 보존된 카빌도 건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박물관 내부의 아름다운 안뜰은 방문객들에게 잠시 쉬어가며 식민지 시대 분위기를 느끼기에 좋은 장소로 이야기된다.
일부 방문객들은 이 박물관이 인근의 유명한 고산 고고학 박물관(MAAM)보다 더 넓고 볼거리가 풍부하여 인상적이었다는 평가를 남기기도 한다.
이 카빌도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카빌도보다 규모가 더 크다는 이야기도 있다.